top of page

경계선 지능에 대한 이해1: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경계선 지능의 문제가 새롭게 제기되는 이유

  • 고학력화와 학업강도 강화에 따른 부적응 경계선 지능 학생의 증가

  • 사회 업무의 고도화 및 1-2차 산업의 몰락과 3-4차 산업으로의 변화

  • 취약성이 높은 경계선 지능 상태의 그룹에게 정신건강 이슈가 커짐

  • 공동체 해체로 인한 경계성 적응자들의 사회적 문제 이슈

☞ 과거 경계적 적응을 할 수 있었던 학교와 사회의 자리가 없어짐

 

지능 검사의 딜레마: 지능 검사의 의미와 논란

지능만으로 측정하는 것에 대한 회의감 반영

지능만이 아닌 적응적 능력과 비례해야 한다는 개념의 대두




"적응적 능력의 개념이란

나이, 동일 문화, 또래 들과 비슷한 기능을 통해

적응하는지의 여부를 함께 보아야 한다는 것"


그간 자폐스펙트럼, ADHD는 관심을 받았지만 경계선 지능은 그렇지 못했고,

이 자체보다는 동반된 다른 이슈에 관심을 가졌다.

그동안 동반된 이슈가 있을 때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가?

  • 학생일 때는 학업 문제의 이슈

  • 사회인이 되면 취업문제의 이슈

  • 취약성에 따른 정신건강 이슈의 동반

치료과정에서의 딜레마

경계선 지능 또는 경계급 장애의 상태를 가진 사람들의 소속될 곳 없는 딜레마


"보통의 그룹에 가면 장애가 있다고 하고,

장애 그룹에 가면 정상에 가깝다고 하고"



미국 정신의학 진단 편람 상 경계선 지적 기능의 변천사

  • 1959년 미국의 DSM 에서는 정신 지체 그룹으로 정의

  • 1973년 이후부터 장애 범주에서는 빠지고, 주의와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는 상태로 변경

  • 현재 경계선 지적 기능은 V 코드로 등재되어 있는 상태

  • 질병이 아닌 임상적 관심이나 치료의 초점이 될 수 있는 상태

  • 정신 질환과 동반될 수 있으며 임상 환경에서 치료나 주의가 필요할 수 있는 상태

  • 특정 정신 질환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도 많음

역사적 반영의 추이

  • 학교 환경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어려움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경계선 지적 기능의 진단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간과되는 경우가 많음

  • 주로 학업을 할 때 문제 였고, 일을 할 때는 덜 문제였는데 당시의 산업 제조업 중심 사회에서 단순 제조업 취직에 큰 문제가 없었던 시대적 상황의 반영이라고 해석 할 수 있음

  • 물론 발달단계에 따라 학업, 사회, 직업 영역에서 적응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이때도 있었고, 지적 기능 및 사회성 등의 문제로 적응상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이 있었음

  • 과거 문헌들은 주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은 학업을 따라가는 과정에서 성취에 대한 두려움이 컸다는 사실을 많이 지적한 경향이 있음

교육과 경계선 지능

  • 이해력과 언어적 유창성, 추론 및 상징화 과정의 어려움, 주의력과 집중력의 어려움, 자존감 및 개인 주도성 부족으로 인한 학업 성취도가 낮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능력을 가진 학생들도 BIF 그룹 안에 발견될 수 있음

  • 대체로 학교에서 학업의 어려움을 가진 계기로 알게 되지만 겉으로 어려움이 없어 보이는 이유로 문제를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단을 받지 못한 채 초등학교를 졸업하는 경우도 많음

 

청소년기에 발견이 급격히 증가하는 이유

  •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학업 능력 습득에 있어 급우들과의 거리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행동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음

  • 자유 시간, 정서적 관계, 직장 또는 독립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사회적으로 거부감을 느끼기 시작할 수 있음


"BIF 개인에 대한 포괄적인 관심 모델은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회 통합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BIF를 가진 개인은 다른 시민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권리와 기회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차별 상황을 피하고 평등 정책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추천 게시물
잠시 후 다시 확인해주세요.
게시물이 게시되면 여기에 표시됩니다.
최근 게시물
보관
태그 검색
아직 태그가 없습니다.
공식 SNS 페이지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bottom of page